정의 |
BIM 모델 연계 피난 대응 시스템 개발
- BIM(Building Information Modeling)은 건축물의 세부적인 표현을 디지털화 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해주며,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줌.
- 4차원 공정 시뮬레이션, 간섭체크, 시공성 검토 등 BIM이 주는 이점은 건설 프로세스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.
|
목적 |
- BIM은 국내도입이후 시뮬레이션, 간섭체크, 시공성 검토 등을 위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BIM라이브러리 콘텐츠 제공은 아직 해외에 비하여 미비한 실정임.
- 특히, 건축물 안전성 평가를 위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및 라이브러리는 외산에 의존하고 있으며, 국내 피난 위험도 평가 모델은 BIM기반이라 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음(BIM 특수성 미반영).
|
성능목표 |
|
기존기술수준 |
개발목표치 |
시뮬레이션 |
- 모든 객체 ID를 부여하고 ID별로 투입 일정을 적용하여 건설 과정을 시뮬레이션화 함.
-
건축시공 이전에 설계 오류를 확인.
(공정별 중복 확인)
|
- BIM을 포괄적인 건물 정보로 활용하여 가상 현실기술을 사용함.
- 실시간 화재 대피 안내제공을 위한 3차원 환경 구축.
- 사물인터넷을 통한 피난 대응 예측.
|
BIM 라이브러리 |
- 지형 BIM, 철근 BIM, 교량 BIM, 터널 BIM 등
- 구조정보, 자재정보 등 각종 설계정보를 포함
- 도면 및 일람표 자동 수정
|
- 연기감지센서.
- CO감지센서.
- 열감지센서.
- 불꽃감지센서 등 초고층 건축물 화재 대비를 위한 피난 대응 BIM라이브러리 구축.
|
피난 대응 시스템 |
|
- BIM기반 시스템 구축.
- 빠른 재난 대응 요소를 분석.
- 재난 대응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.
|
연차별 추진내용 |
- 2018.06 ~ 2018.12 (7개월) : BIM기반 재난대응 연구사례 및 BIM플랫폼 실용화 적용 사례 조사
- 2019.01 ~ 2019.12 (12개월) : 3차원 화재 관리 및 평가를 위한 재난 대응 BIM라이브러리 개발
- 2020.01 ~ 2020.12 (12개월) : BIM모델 연계 피난 대응 시각화 TOOL개발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