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의 |
- 초고층 골조/외피에 특화되어 설계최적화, 상세설계, 정밀물량산출, 공정연계등 초고층 골조/외피 및 시공 업무를 지원하는 3D 설계 엔지니어링 전산도구
|
목적 |
- 100% 해외 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3D BIM 설계도구 기술 분야에서 골조/외피 특화 3D BIM도구 자체 개발로 부분적 기술 자립, 수입 대체 및 글로벌 BIM 시장 진출
|
성능 목표 |
|
As-is |
To-be |
3D BIM |
|
- 골조/외피 특화 BIM 도구로 확장
- 2D/3D 융합형 모델링 기능 강화
- 골조/외피 최적설계, 상세설계, 정밀물량산출 기능 통합
- 기존 상용 3D 설계도구 대비 골조/외피 모델링/설계 효율 2배 이상 향상
|
공정 연계 |
- 공정에 따른 골조공사 사전 시뮬레이션 기능 원형 개발
|
- 초고층 골조/외피(전체 공사비의 50% 해당) 3D 설계정보와 공정, 비용을 통합한 5D 모델링 및 관리기능 개발
- 골조/외피 공사관리 효율 2배 향상
|
데이터 교환 |
- Revit과 골조형상 정보 교환
- IFC 데이터를 통한 골조형상 정보 교환
|
- Revit, TEKLA, ArchiCAD 호환도구 확대
- 기존 골조에 외피 형상정보 교환
- 골조/외피 상세설계정보 호환
- 다양한 상용 도구와의 호환성 확보를 통하여 BIM 기반 설계/시공 협업체계 구축
|
소요기간 |
- 2015.12 ~ 2017.03 (1년 3개월) : 요구조건 분석 및 알고리즘 개발
- 2017.04 ~ 2019.03 (2년) : 특화 BIM 플랫폼 성능 개선 및 파일럿 프로젝트
- 2019.04 ~ 2020.12 (1년10개월) : 특화 3D BIM 플랫폼 기술 안정화 및 브랜드화
|
경제성분석 |
- 100% 해외기술에 의존하는 3D 설계도구 시장의 30% 국산화 실현
- 연간 해외 3D 설계도구 구입비용 30억원 (1,000만원X300copy) 수입 대체
- 골조/외피 특화 3D BIM 도구 해외시장 진출로 연간 100억원 수출 실현
|